달력

8

« 2025/8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CCNP 642-902(Route) 시뮬4 - EIGRP stub config




EIGRP Suub config 문제




전 시뮬처럼 마찬가지로 기본적인 셋팅을 해야 됩니다.


여기서는 EIGRP Stub 관련 설정만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실제 시험에서도 이 부분만 설정 후 확인하면 되겠습니다.





Question (지문 옮김)


By increasing the first distant office, JS manufactures has extended their business. They configured 

the remote office router (R3) from which they can reach all Corporate subnets. In order to raise network

stableness and lower the memory usage and broadband utilzation to R3, JS manufactures makes use

of route summarization together with the EIGRP Stub Routing feature. Another network engineer is

respinsible for the implem enting of this solution. However, in the process of configuring EIGRP stub

routing connecticity with the remote network device off of R3 has been missing.


Presently JS has configured EIGRP on all routers in the network R2, R3, and R4. Your duty is to find

and solve the connectivity failure problemwith the remot office router R3. You should then configure

route summarization only to the distant office router R3 to complete the task after the problem has

been solved.

The success of pings from R4 to the R3 LAN interface proves that the fault has been corrected and

the R3 IP routing table only contains two 10.0.0.0 subnets.




Question - 문제요약


JS 제조회사는 사업이 확장되어 R3라우터가 있는 원격지사가 생겨났고, 네트워크 안정성, 낮은 메모리

사용률, 광대역 사용률 등의 이유로 EIFRP Stub Routing 를 구현할려고 하는데, R3 라우터에는 이 부분이

빠져 다고 하는군요.


현재 JS 제조회사는 R2, R3, R4에 EIGRP로 구성되어졌으며, R3의 연결문제를 확인하고 문제를 수정하라고

되어있습니다.

(R3 라우터의 라우팅 테이블에 2개의 10.0.0.0 subnets이 보이게 경로 축약을 하라고 되어있습니다.)




문제 요약


- R3가 기존 네트워크와 연결되지 못하는 결함을 수정하되 (R3 - R4 - R1 통신 가능)

R3의 라우팅 테이블에 10.0.0.0/8 네트워크에 2개의 서브넷이 보이게 경로축약을 해라.



Answer - 풀이

먼저, R3라우터가 왜 R4 / R2 와 연결되지 않는지 #show running-config 명령어로 기존

설정을 확인해봐야겠네요.

다른 부분은 잘 되어있고, 빨간 박스 부분을 보시면


eigrp stub receive-only 라는 명령어가 삽입이 되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receive-only 라는 옵션은 말 그대로 수신만 하겠다는 말이네요.

내가 가지고 잇는 정보는 보내지 않으니깐 경로에 대한 정보를 다른 라우터와 공유할 수 없습니다.


즉, 다른 라우터가 R3 라우터에 대해 모르니 통신이 안 되는 것이 당연합니다.

그럼, 이 부분을 수정해야 되겠습니다.





통신이 되려면 아래와 같이 잘못된 부분을 먼저 삭제한 후 다시 설정해주면 됩니다.




- R3 라우터설정


receive-only 옵션 외에 옵션은 더있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 따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여기까지 설정하면 각 라우터가 원활히 통신이 되는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R3 라우터에서 #show ip route 명령어를 통해서 확인을 해보죠. 다른 라우터들도 보이는지


확인해보면, 잘보이는지 알 수 있습니다.







아직 한 가지 더 남았습니다. 바로 R3의 라우팅 테이블에 빨간 박스 부분을 보면 9 subnets라고

되어있습니다.


문제에서 요구하는게 있습니다. 10.0.0.0 서브넷이 2개가 나오도록 경로 축약을 해야 됩니다.


그럼, R3 라우터에서 그대로 설정을 하면 되나요?

아닙니다. R3 라우터의 라우팅정보는 이웃에 있는 R4 라우터로부터 경로 정보를 받아 만든 것입니다.


그래서, R4 라우터에서 축약된 경로를 R3한테 알려주어야 합니다. 당연 R4 라우터에서 설정하게

됩니다.




- R4 라우터 설정


10.2.2.0/24 ~ 10.2.9.0/24 서브넷이 포함되도록 축약을 하면 됩니다.

이 중 10.2.3.0 서브넷은 직접 연결되어진 부분으로 하나를 차지 합니다.

쉽게 B Class로 축약을 했군요. 물론 다른 부분도 포함이 되겠지만 어차피 없는 

네트워크이니 상관은 없겠습니다.


R3 라우터가 R4라우터의 s0/0 인터페이스로 부터 정보를 받으니 s0/0 인터페이스에서 경로를

축약해서 보내면 됩니다.


ip summary-address 명령어를 통해서 말이죠.




그럼, 이제 R3 라우터에서 라우팅 테이블을 한 번 보겠습니까?

2 subbnets 로 표기가 되어 나오네요. 문제에서 요구하듯이..





문제에서 요구하는 부분을 이것으로 다 설정하고 확인까지 했습니다.




Config 내용정리



- R3 라우터


R3(config)# router eigrp 123

R3(config-router)# no eigrp stub receibe-only 

R3(config-router)# eigrp

R3(config-router)# end




- R4 라우터


R4(config)# interface s0/0

R4(config-if)# ip summary-address eigrp 123 10.2.0.0 255.255.0.0


확인

R1# show ip route



* 저장에 관련해서는 전 시뮬과 같습니다.

확인후 저장이 안되면 넘어가시면 됩니다.







스터디를 위해서 직접 타이밍 쳣습니다.

참조는 후티의 네트워크 여행기 / http://whoti.blog.me/

Digitaltut / http://www.digitaltut.com/

:
Posted by God Seed




이번 포스팅은 시뮬3번 ipv6 OSPF Virtual Link를 쓰겠습니다.


연습은 GNS3툴을 사용 합시다



시뮬문제





IP 설정 및 OSPF 설정 등을 한후 Virtual-link 설정을 하면 되겠습니다.

루프백 주소를 ipv4 주소로 대체해서 테스트해도 되겠습니다.


여기서는 Virtual-Link 관련 설정만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실제 시험에서도 이부분만 설정한 후 확인 하면 되겠습니다.





Questin - 문제를 요약하면


Acme회사는 작은 수출회사로써 IPv6 OSPFv3로 네트워크가 구성이 되어져 있으며, 모든 라우터에 OSPF가

동작중 입니다.

하지만, R4의 루프백 어드레스가 R!의 라우팅 테이블에 보이지 않으나, 결합의 원인을 확인하고 정확하게 수정을 하라는

말이네요.

단, OSPF Area는 변경하지 않아도 된다고 하는군요.


문제 요약

- R1의 라우팅 테이블에 R4의 루브백 어드레스가 보이게 하라. 즉, R1 - R4 가 통신이 가능하게 하세요


Answer - 풀이

OSPF 라우팅에서 모든 Area는 백본 Area(Area 0)에 직접 연결되어져야 됩니다.

하지만, 토폴로지를 보면 Area 54 네트워크 영역은 그렇지 못하므로 Virtual Link를 설정하여

직접 연결된 것처럼 설정해야 합니다.


중간에 있는 Area11 영역을 Virtual Link(가상링크)로 설정하면 됩니다.

어느장비에 한다?

바로 R2 / R3 라우터에서 Area 11영역을 가상 링크로 설정해줘야 됩니다.


시작하기 전에, R1 - R4까지의 설정 내용을 #show running-config 로 확인한후 잘못 설정된 부분을 삭제하고,

올바르게 설정해주면 되겠습니다.

그중에서도 R2 와 R3, R4 라우터의 설정 내용을 유심히 볼 필요가 있겠네요.



               <R2의 설정내용 확인>                                                                  <R3의 설정내용 확인>


위의 기존 설정을 보니 R2 에는 Virtual Link 설정이 없네요. R3 에는 Area 54 가 Virtual-Link로 설정이 잘못되어져

있습니다.

기존 잘못된 부분을 삭제하고 제대로 설정해주면 됩니다.


R4도 꼭 확인하여야 됩니다. R4에도 설정이 올바르지 않으면 관력 설정 부분을 삭제해야겠습니다.

실제 시험에서는 R1 ~ R4까지 Virtual-Link 관련 잘못된 설정이 있는지 확인해보아야 됩니다.




- R2 라우터 설정


Virtual-Link 설정이 없으니 설정해줘야합니다.

IPv6 라는걸 주의하시고, OSPF프로세스 ID번호는 1 인것을 # show run으로 이미 확인했습니다.


virtual-link 명령어


area area-id virtual-link neighbor-route-id 

자기 자신이 아니라 네이버(이웃)의 라우터 ID입니다. (R2에서는 R3의 라우터 ID)



- R3 라우터 설정


virtual-link가 잘못 설정되어 있으니 먼저 삭제한 후 다시 설정해주면 됩니다.

(R3에서는 R2의 라우터 ID)





- R4 라우터 설정


R3와 마찬가지로 virtual-link가 잘못 설정되어 있으니 삭제만 하면 됩니다.





여기까지 설정하면 문제에서 요구하는 부분을 모두 설정했습니다.

R1 라우터에서 #show ipv6 route 명령어를 통해 R4의 루프백 인터페이스가 보이는지 확인하면 됩니다.




Config 내용 정리



- R2 라우터


R2(config)# ipv6 route ospf 1

R2(config-rtr)# area 11 virtual-link 3.3.3.3



- R3 라우터


R3(config)# ipv6 route ospf 1

R3(config-rtr)# no area 54 virtual-link 4.4.4.4

R3(config-rtr)# area 11 virtual-link 2.2.2.2



- R4 라우터


R4(config)# ipv6 router ospf 1

R4(config-rtr)# no area 54 virtual-link 3.3.3.3



- 확인


R1# show ipv6 route



* 확인후에 저장 입력! 입력후 되지 않는다면, 넘어가도록 합시다.


여기까지 

IPv6 OSPF Virtual-Link 이였습니다. 



답부분 명령어를 그대로 암기해서 가면 이름 및 IP대역대, ospf 프로세스 ID번호등이

바뀌어서 힘들수 있습니다. 대부분 시뮬이 조금씩 바뀌어서 나오죠








스터디를 위해서 직접 타이밍 쳣습니다.

참조는 후티의 네트워크 여행기 / http://whoti.blog.me/

Digitaltut / http://www.digitaltut.com/

:
Posted by God Seed